본문 바로가기

백엔드 개발자 로드맵

(9)
1. 터미널 사용법 - cmd 명령어 ASSOC 파일 확장명 연결을 보여주거나 수정합니다. (association) ATTRIB 파일 속성을 표시하거나 바꿉니다. (attirbute) BREAK 확장된 CTRL+C 검사를 설정하거나 지웁니다. BCDEDIT 부팅 로딩을 제어하기 위해 부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속성을 설정합니다. CACLS 파일의 액세스 컨트롤 목록(ACL)을 표시하거나 수정합니다. CALL 한 일괄 프로그램에서 다른 일괄 프로그램을 호출합니다. CD 해당하는 디렉토리로 진입합니다. CHCP 활성화된 코드 페이지의 번호를 표시하거나 설정합니다. (change code page) CHDIR CD 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디렉토리로 진입합니다. CHKDSK 디스크를 검사하고 상태 보고서를 표시합니다. (check..
HTML, CSS, JavaScript 1. http://www.tcpschool.com/ : 개념공부 참고사이트
6. 호스팅이란? 1) 정의 호스팅(hosting)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정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2) 종류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 코로네이션 등.. 3) 비교 참고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1780520&memberNo=2521903&vType=VERTICAL
5. 도메인 이름이란? 1) 도메인 네임이란? -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 2) 도메인 네임 3단계 1단계(TLD, Top-Level Domain) : 국가도메인(kr) 2단계(SLD, Second-Level Domain) : 도메인의 성격(해당도메인이 사업체의 도메인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co) 3단계 :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는 사람이 원하는 이름
4. DNS와 그 작동 원리 1) DNS(Domain Name System) - www.example.com과 같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을 192.0.2.1과 같은 숫자 IP 주소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 - DNS 서버는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때 최종 사용자를 어떤 서버에 연결할 것인지를 제어, 이 요청을 쿼리라고 부른다. 2) DNS 기본 동작 1. DNS Query (from Web Browser to Local DNS) : "제가 원하는 웹 사이트의 IP 주소를 알고 계신가요?" Local DNS 서버에게 전달 2. DNS Query (from Local DNS to Root DNS) : "제가 원하는 웹 사이트의 IP 주소를 알고 계신가요?" Root D..
3. 브라우저와 그 작동 원리 1) 브라우저 정의 - 웹 서버에서 쌍방향 통신하는 HTML 문서나 파일과 연동하고 출력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2) 브라우저 주요 기능 - 사용자가 선택한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고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 - 자원의 종류 HTML CSS JavaScript PDF Image 기타 등등 3) 브라우저의 기본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 주소 표시줄, 이전/다음 버튼, 북마크 메뉴 등. 요청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 브라우저 엔진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을 제어. 렌더링 엔진 - 요청한 콘텐츠를 표시. 예를 들어 HTML을 요청하면 HTML과 CSS를 파싱하여 화면에 표시함. 통신 - HTTP 요청과 같은 네트워크 호출에 사용됨. 이것은 플랫폼 독립적인 인터페이스이고..
2. HTTP란? 1) HTTP의 정의 -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웹 상에서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프로토콜(protocol) : 네트워크의 접속 순서,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컴퓨터, 컴퓨터와 단말 기계가 정보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하여 정한 통신규약 2) 특징 (1)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과 그에 대한 서버의 응답(Response)으로 이루어짐 -> 단방향 통신 (2) Stateless (무상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음 Stateful (상태 유지) Stateless (무상태) 장점 요청 간결 서버 활용 + 확장성 단점 서버 한정 요청 복잡 + 약한 연결 보장 (3) Connectio..
1. 인터넷의 작동 원리 1) 단순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연결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은 원하는 만큼의 컴퓨터를 연결할 수 는 있지만 매우 복잡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각 컴퓨터는 라우터라고하는 특수한 소형 컴퓨터에 연결된다. 2) 네트워크 속의 네트워크 수십, 수백개의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라우터끼리의 연결도 가능하다 하지만 모든 곳에서의 연결은 불가능하기에 전화기 기반의 시설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려면 모뎀이라는 특수장비가 필요하다. (모뎀 -> 네트위크 정보를 전화 시설에서 처리 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꾸어 줌) 네트워크를 전화시설에 연결한 다음에는 ISP와의 연결을 통해 우리의 네트워크에서 도달하려는 네트워크로 메세지를 보내야 한다. (ISP -> Internet Servi..